시기성과
A. 진료
- 생명활동의 원리를 파악하고 질병의 기본적인 병태생리기전을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다.
- A-1 의학지식 : 생명활동의 원리를 파악하고 질병의 기본적인 병태생리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
- A-2 의학술기 : 생명활동과 관련된 기초적 수준의 술기를 시행할 수 있다.
- A-3 임상추론 : 추론의 개념을 파악하고 주어진 상황에서 다양한 추론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B. 의사소통
- 의사소통의 개념과 방법을 이해하고 동료와의 소통이 원활할 수 있다
- B-1 정보획득 : 정보획득의 개념과 방법을 습득하고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다.
- B-2 정보전달 : 정보전달의 개념과 방법을 습득하고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다.
- B-3 관계형성 : 관계형성의 개념과 방법을 습득하고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다.
C. 환자지지
- 그리스도의 사랑을 바탕으로 생명을 존중할 수 있다.
- C-1 환자 배려 : 삶과 죽음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타인을 공감하고 배려할 수 있다.
- C-2 환자중심사고 : 타인과의 관계에서 상대의 입장을 고려하여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다.
- C-3 그리스도의 사랑을 바탕으로 한 태도 : 그리스도의 사랑을 성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타인을 포용하고 배려할 수 있다.
D. 프로페셔널리즘
-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자신을 성찰하고, 의사에게 요구되는 직업윤리를 설명할 수 있다.
- D-1 직업윤리 : 윤리 개념을 이해하고 공동체의 윤리와 전문인으로서의 자질을 성찰할 수 있다.
- D-2 사회적 책무성 : 공동체의 건강유지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 D-3 리더십 : 공동체에서 리더십의 개념을 파악하고 열린 마음으로 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다.
E. 문제해결과 연구
- 과학적 원리와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파악 할 수 있다.
- E-1 문제해결능력 :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할 수 있다.
- E-2 연구능력 : 과학적 원리와 지식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연구에 필요한 기본적 술기를 시행할 수 있다.
- E-3 창의성 :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하여 독창적 사고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F. 자기개발
- 자기관리를 위해 필요한 자원과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 F-1 자기관리능력 : 자기개발을 위해 효율적으로 자원을 배분하고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F-2 자기주도 학습능력 : 자기 스스로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학습자원과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 F-3 국제적 감각을 지닌 의사 : 다양한 집단의 특성과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