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환경의학교실
교실안내
교실안내
대표전화 |
팩스번호 |
053-258-6401,6402 |
053-258-6404 |
교실소개
모든 직업은 노동환경으로 인해 일하는 사람들의 건강에 위해한 요인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직업 활동 뿐 아니라 인간의 모든 일상 생활은 환경에 영향을 줄 수도 있으면서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직업환경의학은 일하는 사람들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을 유지・증진을 목표로 생활환경, 작업환경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고, 특히 직업의학으로서 개인의 취약성을 파악하여 적절하게 배치하며, 질병과 업무와의 관련성을 평가하고 질병으로의 이환 후 치료를 받는 사람들이 업무에 복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전문의학의 한 분야이다.
직업환경의학은 우리나라에서는 예방의학의 산업보건분야로 속해있다가 1996년 산업의학 전공의 수련을 시작하여 매년 1명의 전문의를 배출함으로 본격적으로 전문의학의 한 영역으로서의 기반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 직업환경의학교실은 3명의 전문의과 4명의 전공의를 중심으로 일반건강진단, 특수건강진단, 작업환경측정, 보건관리대행, 직업・환경성 질환에 대한 외래진료, 다양한 질병에 대한 업무관련성 평가, 업무적합성 평가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직장내에서의 뇌심혈관질환 예방 및 근골결계 예방사업을 지도하고 있다. 또한 직업환경분야의 다양한 학술 및 연구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교수진 책무
- 직업환경의학교실 교수는 의과대학 교육과정 중 통합교과목인 “건강과 환경”에 대한 교과목 교육 및 임상실습과정에서 직업환경의학 실습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 직업환경의학교실 교수는 교실내 인적, 물적 관리에 대한 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해당 교실내 의료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업무수행 능력향상을 위해 실시되고 있는 전문화 교육의 참석과 참여를 지도하고 있다.
교육과 연구 및 봉사 활동
교육활동
직업환경의학교실은 교육부분에서 의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성질환, 환경성 질환에 대한 강의 및 실습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연구활동
연구부분에서 직업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업적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산업재해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예방을 위한 체계구축과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봉사활동
직업환경의학교수들은 대한직업환경의학회 임원진으로 활동 중이며,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업무관련성 질환 여부를 판단하는 근로복지공간의 자문, 질병판정위원회, 질병판정 재심사위원회 등의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직업보건과 관련된 보건관리자, 관리감독자 교육 등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민사조정위원, 환경분쟁조정위원 및 통합건강증진사업지원단의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